□ 제12회 : '11. 6.2~6.3(2일간), 미국 워싱턴DC(교통부내)
ㅇ 의제 : <한국측> ① 국내 케이블 교량 건설과 모니터링
② 확률적 통행수요와 도로용량 저하를 고려한 교통망 설계 기법
③ 스마트폰과 공공의 교통정보 제공
④ 탄소저감형 도로계획, 설계, 시공, 운영기술
⑤ 중온아스팔트 기술개발현황
⑥ 한국의 고속도로 ETC 시스템
<미국측> ① 미국의 친환경 교량(Green Bridge)
② 지반 분야의 한계상태 설계법(Load and Resistance Factor Design in Geotechnical
Applications)
③ 기술이전 프로그램(Technology Transfer)
④ 위험방지 도로시설(Breakaway Devices)
⑤ 미국의 VE(Value Engineering)
⑥ 미국의 지속가능한 도로(Sustainable Transportation and Livable Communities)
⑦ 생애주기 분석 프로그램(Life Cycle Cost Analysis Program)
⑧ 도로의 경제성 분석 시스템(Highway Economics Requirement System)
ㅇ 주요회의내용 및 시사점
<논의사항>
- 미국의 녹색교량 기술 및 한국의 주요 케이블 교량과 인천대교 시공 사례에 대해 발표 및 논의
· 미국측은 한국의 신속한 시공 및 장대교량 기술에 대해 큰 관심을 표명하고 차기회의에서 심도있는
토론을 희망
- 미국의 기술이전 프로그램, 우리측은 스마트폰을 활용한 교통정보 제공 등 상호 전파할 만한 분야
발표 및 논의
· 기술교류의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고 새로운 분야에 관심 표명
- 미국측의 LCC분석 프로그램 및 도로분야 경제성 분석 프로그램 등 자산관리 분야에 대해서 발표
및 토의
· 한국에서도 본격적으로 논의가 진행중인 LCC 등 자산관리 분야에 대한 논의를 통해 정보를 습득
- 탄소저감형 도로 기술 연구 계획, 중온아스팔트 기술, ETC 시스템 등 우리측의 탄소 저감 기술에
대해 발표
· 미국측의 우리측의 탄소저감 노력에 대해 깊은 인상을 갖고 탄소 저감 기술 개발의 필요성에 대해
상호 공감
<시사점>
- 차기 회의는 내년 한국에서 개최할 예정으로 금번 논의된 교량분야에 대해 심도 깊게 논의하기로 함
· 추가로 도로에서의 재난관리, 도시부 혼잡해소, 자산관리 등에 대해서도 논의하자는 의견 제시